티스토리 뷰
목차
경기지역화폐는 지역 내 경제 활성화를 위해 만들어진 편리하고 유용한 결제 수단입니다. 경기도 31개의 시군에서 발생하고 지역내에서 사용하는 대안화폐입니다. 이 글에서는 경기지역화폐의 사용처, 잔액 조회 방법, 신청 방법, 혜택 등을 자세히 안내합니다. 충전금액의 10% 인센티브를 받으실 수 있는 경기지역화폐 아직도 이용하지 않으셨다면 빠르게 발급 받아보시기를 바랍니다.
📌 경기지역화폐란?
경기지역화폐는 경기도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결제 수단으로,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둔 정책입니다. 신용카드 형태의 실물 카드와 모바일 앱, 지류 형태 등으로 이용 가능하며,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.
📌 사용처 및 가맹점 찾기
경기지역화폐는 주로 소상공인 점포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백화점,대형마트,기업형슈퍼마켓,프랜차이즈 직영점 및 유흥업소에서의 사용은 제한되며, 연 매출 10억 이하인 소상공인 점포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. 경기지역 화폐 홈페이지를 통해서 우리동네 가맹점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☑️ 음식점: 지역 내 소규모 식당,
☑️ 카페 등 생활용품점: 동네 마트, 편의점
☑️ 서비스업: 미용실, 세탁소
☑️ 전통시장: 전통시장 내 점포
☑️ 사용 제한 업종: 대형마트, 백화점, 대기업 프랜차이즈 등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. 사용 가능한 매장은 경기도 지역화폐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.
📌 신청 방법
경기지역화폐 사용을 위한 카드 신청은 여라기자 방법으로 간단히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
☑️ 모바일 앱 신청
가장 간편하게 신청하실 수 있는 방법입니다. 경기지역화폐 앱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시면 간단하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
- 경기지역화폐 앱을 설치 및 실행시켜주세요. 회원가입을 마치시고 홈화면에서 [내지갑] 메뉴를 선택해주세요.
- "새로신청하기"를 누르시고 "카드 추가 신청하기"를 눌주세요.
- "카드 신청" 메뉴를 눌러주세요.
- 여러가지 카드 디자인이보이면, 그중 원하시는 카드를 선택하시고 "간편 신청하기"를 눌러주세요.
- 배송지 정보를 입력 및 신청 정보를 다시한번 확인해주신 후 "이 정보로 카드 신청하기"를 눌러주세요.
- 평균7일안으로 실물 경기지역화폐 카드가 도착됩니다. 카드를 수령하시기 전에 미리 인센티브를 받아두실 수 있습니다. 카드를 수령하시면 모바일 앱에 카드를 등록해주시면 됩니다.
☑️ 온라인 신청
경기지역화폐 신청 사이트를 통해서, 해당지역의 시를 선택하시고 온라인 신청을 진행하시면 됩니다. 아래로 가시면 온라인 신청 화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☑️ 오프라인 신청: 관할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서 작성 및 카드 수령.
📌 잔액 조회 방법
잔액 조회는 간단하며, 여러 방법으로 확인 가능합니다.
☑️ 모바일 앱 사용: 경기도 지역화폐 앱에 로그인 후 '내지갑' 메뉴에서 확인.
☑️ 문자 알림 서비스: 결제 시 자동으로 잔액이 문자로 발송됩니다.
☑️ ATM 조회: 지역화폐를 지원하는 ATM에서 잔액 확인 가능.
📌 인센티브
경기도 지역화폐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다양한 혜택입니다.
☑️ 충전 시 할인: 지역화폐를 충전할 때 충전 금액의 10%를 추가로 지급하는 인센티브가 제공됩니다.
※ 예: 10만 원 충전 시 11만 원 사용 가능. 명절등에는 지자체별로 추가 인센티브나 캐시백 제공을 하는 곳들도 있습니다.
☑️ 소득공제 혜택: 지역화폐 사용 금액은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.
☑️ 지역 경제 활성화: 지역 소상공인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.
📌 경기지역화폐의 유용한 팁
☑️ 자동 충전 기능: 월별 자동 충전을 설정하여 혜택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.
☑️ 프로모션 이벤트: 특정 기간 동안 추가 캐시백 이벤트가 진행되므로, 알림 설정을 통해 정보를 놓치지 않도록 합니다.
☑️ 사용 기한 확인: 충전한 금액에는 사용 기한이 있을 수 있으니, 반드시 유효 기간을 확인하세요.
📌 결론
경기지역화폐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입니다. 사용처와 혜택을 잘 활용한다면 생활비를 절약하면서 지역사회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. 사용 방법과 혜택을 숙지하여 경기도 지역화폐를 스마트하게 활용해 보시기를 바랍니다.